<AI Data Summit 2023> – 연사 선정
본 연구실 출신의 박찬준 연구원(Upstage)이 AI Data Summit 2023의 연사로 선정되어 “Real-World Centric AI”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관련링크: Link
<AI Data Summit 2023> – 연사 선정
본 연구실 출신의 박찬준 연구원(Upstage)이 AI Data Summit 2023의 연사로 선정되어 “Real-World Centric AI”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관련링크: Link
<고려대학교 우수논문상 수상>
본 연구실 출신의 김경민 연구원이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고려대학교 우수논문상 수상>
본 연구실 출신의 박찬준 연구원(Upstage)이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고려대학교 우수논문상 수상>
본 연구실의 임정우 연구원이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NAVER Ph.D. Fellowship Award>
본 연구실의 서재형, 어수경 연구원이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NAVER Ph.D Fellowship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COLING 2022> – Workshop 개최
본 연구실의 장윤나, 임정우, 허윤아, 손수현 연구원 및 임희석 교수님, 김승룡 교수님의 주도하에 “The 1st Workshop on Customized Chat Grounding Persona and Knowledge”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습니다.
Workshop Homepage: Link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HCLT) 2022>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연구원들이 제 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에 총 19편의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HCLT) 2022> 우수논문 선정
본 연구실의 어수경, 구선민, 정다현, 박찬준 , 서재형, 문현석 연구원의 “KoCED: 윤리 및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는 기계번역 오류 탐지를 위한 학습 데이터셋” 논문이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HCLT 2022)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HCLT) 2022> 우수논문 선정
본 연구실의 임정우, 손준영, 김진성, 허윤아, 서재형, 장윤나 연구원의 “상호참조 정보와 대화 그래프를 활용한 대화 관계추출 모델” 논문이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HCLT 2022)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AACL 2022 Demo> 논문 게재
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박찬준 (Upstage), 장윤나, 이설화 박사 (University of Copenhagen), 서재형, 양기수 (VAIV) 연구원의 “PicTalky: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Language Developmental Disabilities” 논문이 AACL-IJCNLP 2022 Demo에 Accept 되었습니다. PicTalky는 Microsoft AI for Accessibility 해커톤에서 우승을 거둔 작품으로, 연구원들이 후속 연구를 진행 후 논문화에 성공시킨 작품입니다.
<EMNLP 2022>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임정우, 강명훈, 허윤아, 김진성, 장윤나 연구원의 You Truly Understand What I Need : Intellectual and Friendly Dialog Agents grounding Persona and Knowledge 논문이 자연어처리 Top-tier conference인 EMNLP2022의 findings에 Accept되었습니다.
<KBS Journal> Accept
본 연구실 및 본 연구실 출신의 서재형, 오동석, 어수경, 박찬준(Upstage), 양기수, 문현석 연구원의 PU-GEN: Enhancing generative commonsense reasoning for language models with human-centered knowledge논문이 Top-tier 저널인 Knowledge-Based Systems에 Accept되었습니다. KBS 저널의 2021 impact factor는 8.139입니다.
<EMNLP 2022 – WMT> QE-task3 1위
본 연구실 및 본 연구실 출신의 어수경, 박찬준(Upstage), 문현석, 서재형 연구원이 기계번역 분야의 저명한 컨퍼런스인 WMT의 Quality Estimation – Critical Error Detection task(task3) 리더보드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해당 논문이 Accept되었습니다.
<COLING 2022>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손준영, 김진성, 임정우 연구원의 “GRASP: Guiding model with RelAtional Semantics using Prompt” 논문이 자연언어처리 Top-tier conference 중 하나인COLING2022에 Accept되었습니다.
<COLING 2022> 논문 게재
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어수경, 박찬준(Upstage), 문현석, 서재형, 김경민, 이정섭 연구원의 “QUAK: A Synthetic Quality Estimation Dataset for Korean-English Neural Machine Translation” 논문이 자연언어처리 Top-tier conference 중 하나인 COLING2022에 Accept되었습니다.
<COLING 2022>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오동석, 김예진(조지워싱턴대), 이호동, H. Howie Huang(조지워싱턴대) 연구원의 “Don’t Judge a Language Model by Its Last Layer: Contrastive Learning with Attention Mechanism Utilizing Layer-Wise Pooling” 논문이 자연언어처리 Top-tier conference 중 하나인 COLING2022에 Accept되었습니다.
<COLING 2022>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김경민, 김진성, 손준영 연구원의 “KoCHET: a Korean Cultural Heritage corpus for Entity-related Tasks” 논문이 자연언어처리 Top-tier conference 중 하나인 COLING2022에 Accept되었습니다.
<ICML 2022 – DataPerf>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문현석, 박찬준, 어수경, 서재형, 이승준 연구원의 “A Self-Supervised Automatic Post-Editing Data Generation Tool” 논문이 ICML 2022의 workshop인 DataPerf에 Accept 되었습니다. DataPerf는 작년 NeurIPS에서 열리고 Andrew Ng 교수님이 주관하신 Data-Centric AI workshop의 후속 workshop 입니다.
<COLING 2022> – Workshop 개최
임희석 교수님, 김승룡 교수님 및 본 연구실의 장윤나, 임정우, 허윤아, 손수현 연구원의 주도 하에 COLING2022에서 Customized Chat Grounding Persona and Knowledge 워크샵을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Workshop Homepage: Link
<Persona Chatbot 데이터셋 FoCus 공개>
본 연구실과 NC Soft의 공동 연구로 AAAI2022에서 Persona chatbot 데이터셋인 FoCus를 공개했습니다. FoCus는 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총 1만 5천 개 이상의 지식전달 대화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어처리 분야의 저명한 학회인 COLING 2022에서 이 데이터셋을 활용한 1st Workshop on Customized Chat Grounding Persona and Knowledge 를 개최합니다.
관련기사: Link
<NAACL 2022 – Findings>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서재형, 박찬준, 장윤나, 문현석, 어수경, 구선민 연구원과 A*STAR의 이승훈 연구원의 A Dog Is Passing Over The Jet? A Text-Generation Dataset for Korean Commonsense Reasoning and Evaluation”논문이 자연언어처리 Top-tier conference 중 하나인 NAACL 2022에 합격하였습니다.
<LREC 2022 – Main>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박찬준, 이설화 박사 (University of Copenhagen), 서재형, 문현석, 어수경 연구원의 “Priming Ancient Korean Neural Machine Translation” 논문이 LREC 2022의 Main Conference에 Accept 되었습니다.
<LREC 2022 – Main>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박찬준, 장윤나, 이설화 박사 (University of Copenhagen), 박성진 (NAVER) 연구원의 “FreeTalky: Don’t Be Afraid! Conversations Made Easier by a Humanoid Robot using Persona-based Dialogue” 논문이 LREC 2022의 Main Conference에 Accept 되었습니다.
<LREC 2022 – Main>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문현석, 박찬준, 이설화, 서재형, 이정섭, 어수경 연구원의 “Empirical Analysis of Synthetic Data Generation Using Noising Strategies for Automatic Post-editing” 논문이 LREC 2022의 Main Conference에 Accept 되었습니다.
<박찬준 연구원 Upstage 입사>
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원이 국내 최고 AI 기업 중 하나인 Upstage에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박찬준 연구원은 전문연구요원(정규직)으로 근무 예정입니다. 박찬준 연구원은 지난 2년 반동안 NMT 그룹을 만들어 8명의 정규멤버 그룹으로 성장시켰으며, 국내외 약 100편의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제주대학교 교수 임용>
본 연구실의 윤여찬 박사가 우수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2022년 3월부로 제주대학교 인공지능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
<NAVER Ph.D. Fellowship Award>
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원이 NAVER Ph.D. Fellowship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박찬준 연구원은 지난 2년간 SCIE급 논문지 10편, NLP 및 AI 분야의 우수학술대회인 NAACL과 더불어 NeurIPS, AAAI, ACL, EMNLP, MTsummit의 학회에 논문을 게재하는 등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본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AAAI 2022 – AI4EDU>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박찬준, 장윤나, 이설화 박사 (University of Copenhagen), 박성진 (NAVER) 연구원의 “FreeTalky: Don’t Be Afraid! Conversations Made Easier by a Humanoid Robot using Persona-based Dialogue” 논문이 AAAI 2022의 workshop인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ducation(AI4EDU)에 Accept 되었습니다. AI4EDU는 인공지능 교육 관련하여 저명한 workshop입니다.
<AAAI 2022 – Main>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장윤나, 임정우, 허윤아, 오동석, 손수현 연구원과, NC soft의 이연수, 신동훈, 그리고 김승룡 교수님의 “Call for Customized Conversation: Customized Conversation Grounding Persona and Knowledge” 논문이 AAAI 2022의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 AAAI 2022의 Acceptance rate는 15% 입니다.
<AAAI 2022 – DSTC 10> 세계 3위
본 연구실의 황태선, 임정우, 이동엽 연구원이 AAAI의 Workshop인 Dialog System Technology Challenge (DSTC) 10의 Track 2 – Knowledge-grounded Task-oriented Dialogue Modeling on Spoken Conversations (task1)에서 세계 3위의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NeurIPS 2021 – DCAI>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박찬준, 이설화 박사, 문현석, 어수경, 서재형 연구원의 “How should human translation coexist with NMT? Efficient tool for building high quality parallel corpus” 논문이 NeurIPS 2021의 workshop인 Data-Centric AI에 Accept 되었습니다. Data-Centric AI는 올해 처음 신설되었으며 세계적인 AI 대가이신 Andrew Ng (앤드류 응) 교수님이 주관하시는 workshop입니다.
<NeurIPS 2021 – DCAI>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어수경, 박찬준, 서재형, 문현석 연구원의 “A New Tool for Efficiently Generating Quality Estimation Datasets” 논문이 NeurIPS 2021의 workshop인 Data-Centric AI에 Accept 되었습니다. Data-Centric AI는 올해 처음 신설되었으며 세계적인 AI 대가이신 Andrew Ng (앤드류 응) 교수님이 주관하시는 workshop입니다.
<NeurIPS 2021 – DCAI>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서재형, 박찬준, 어수경, 문현석 연구원의 “Automatic Knowledge Augmentation for Generative Commonsense Reasoning” 논문이 NeurIPS 2021의 workshop인 Data-Centric AI에 Accept 되었습니다. Data-Centric AI는 올해 처음 신설되었으며 세계적인 AI 대가이신 Andrew Ng (앤드류 응) 교수님이 주관하시는 workshop입니다.
<NeurIPS 2021 – WiML> 논문 게재
본 연구실 출신인 이설화 박사와 본 연구실의 양기수, 박찬준 연구원의 “Syntax-enhanced Dialogue Summarization using Syntax-aware information” 논문이 NeurIPS 2021 WiML(Women in Machine Learning) workshop에 accept 되었습니다.
<Machine Translation Research Group 홈페이지 오픈>
Machine Translation Research Group이 최근 홈페이지를 오픈하였습니다. Research paper 및 demo, 다양한 소식들을 위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Research Tab에서 확인 가능)
링크: HomePage
<COLING 2022> Virtual Social Chair 선정
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원이 COLING 2022의 Virtual Social Chair로 선정되었습니다. COLING 2022는 대한민국 경주에서 2022년 10월 12일부터 17일간 열리며 박찬준 연구원은 ORGANIZING COMMITTEE로서 학회 조직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링크: COLING 2022
<HCLT 2021> 우수논문 선정
본 연구실의 이승준, 장윤나, 박찬준 연구원의 “PEEP-Talk: 개인화 외국어 학습을 위한 딥러닝 기반 영어 교육 플랫폼” 논문이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HCLT 2021)의 언어처리응용2 세션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HCLT 2021> 우수논문 선정
본 연구실의 서재형, 박찬준, 문현석, 어수경, 강명훈, 이승훈 연구원의 “KommonGen: 한국어 생성 모델의 상식 추론 평가 데이터셋” 논문이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HCLT 2021)의 언어자원 세션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HCLT 2021> 우수논문 선정
본 연구실의 손준영, 박찬준, 서재형 연구원의 “한국어 음성 인식 시스템의 오류 유형 분류 및 분석” 논문이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HCLT 2021)의 질의응답2 및 음성 세션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EMNLP 2021 – NewSum> 논문 게재
본 연구실 출신 및 현 연구원인 이동엽(Kakao), 임정우, 황태선(Wisenut), 이찬희 박사와, 조승우(Kakao), 박민건(Microsoft)의 “Capturing Speaker Incorrectness: Speaker-Focused Post-Correction for Abstractive Dialogue Summarization” 논문이 EMNLP의 NewSum workshop에 accept 되었습니다.
<EMNLP 2021 – WiNLP> 논문 게재
본 연구실 출신인 이설화 박사와 본 연구실의 양기수, 박찬준 연구원의 “Towards Syntax-Aware Dialogue Summarization using Multi-task Learning” 논문이 EMNLP Widening NLP(WiNLP) workshop에 accept 되었습니다.
<EMNLP 2021 – Insights>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원과 본 연구실 출신인 박성진, 이설화, 황태선 연구원의 “Two Heads are Better than One? Verification of Ensemble Effect in Neural Machine Translation” 논문이 EMNLP Workshop “Workshop on Insights from Negative Results in NLP”에 Accept되었습니다.
<MT Summit 2021 – LoRESMT>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어수경, 박찬준, 서재형, 문현석 연구원의 “Dealing with the Paradox of Quality Estimation” 논문이 MT Summit Workshop인 LoRESMT에 Accept되었습니다.
<ACL 2021 – WAT> 논문 게재
본 연구실의 박찬준, 서재형, 이설화, 이찬희, 문현석, 어수경 연구원의 “BTS:Back TranScription for STT post processor using TST (Text-to-Speech-to-Text)” 논문이 ACL Workshop인 WAT 2021에 Accept되었습니다.
<Amazon Alexa AI> 선발
본 연구실의 이찬희 연구원이 인턴 기간을 마치고 최종으로 Amazon 의 Alexa AI 팀에서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NAACL 2021> 논문 게재
2021년 03월
본 연구실의 박찬준, 어수경, 문현석 연구원의 “Should we find another model?: Improving Neural Machine Translation Performance with ONE-Piece Tokenization Method without Model Modification” 논문이 NAACL 2021 Industry track에 Accept되었습니다.
오카와 재단 Research Grant Recipients 선정
2020년 11월
임희석 교수님께서 오카와 재단에서 매년 선정하는 Research Grant Recipients에 2020년 대상자로 선정되셨습니다.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논문 게재
2020년 10월
본 연구실의 연구원이 제 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에 총 16편의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Coling 2020> 논문 게재
2020년 10월
본 연구실의 임정우, 오동석, 장윤나, 양기수 연구원의 “I Know What You Asked: Graph Path Learning using AMR for Commonsense Reasoning” 논문이 Coling 2020에 Accept되었습니다.
<Interspeech 2020> 논문 게재
2020년 7월
본 연구실의 황태선, 이동엽, 이찬희, 양기수, 오동석 연구원의 “An Effective Domain Adaptive Post-Training Method for BERT in Response Selection” 논문이 Interspeech 2020에 Accept되었습니다.
<Amazon Alexa AI> 인턴 연구
2020년 6월 ~8 월
본 연구실의 이찬희 연구원이 Amazon 의 Alexa AI 팀의 인턴으로 3개월간 같이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자연어처리 바이블> 출간
2019년 12월 30일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교재 시리즈의 일환으로 <자연어처리 바이블> 교재가 출간되었습니다. 본 서는 자연어처리의 전통적인 기법부터 최신 딥러닝 기법까지 넓은 범위를 다루며 각 이론에 대한 실습자료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독자가 쉽게 이해하고 따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링크: <자연어처리 바이블>
Consumer Electronics Show 2020
2020년 1월 7일 ~ 2020년 1월 10일
장소 : 라스베이거스, 미국
MIT & JHU AI 2020 파견연구
2020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장소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Microsoft AI for Accessibility 해커톤 국내 우승
2019년 10월 11일
장소 : Microsoft Korea Office
링크 : 해커톤 홈페이지
<NAVER Ph.D. Fellowship Award>
본 연구실의 이설화 연구원이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NAVER Ph.D Fellowship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2019년 10월 11일 ~ 12일
장소 : 한국과학기술원 정보전자공학동
링크 : HCLT 2019
ITRC 글로벌 메이커톤 2019
2019년 8월 22일
장소 : 한양대학교 정몽구미래자동차연구센터
링크 : 관련 기사
EmotionX Shared Task, IJCAI-19
2019년 8월 10일 ~ 8월 16일
장소 : Macau, China
링크 : EmotionX 2019
AAAI 2019 Workshop on DSTC7
2019년 1월 27일 ~ 2월 1일
장소 : Honolulu, Hawaii, USA
링크 : AAAI 2019 Workshop
제30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회
2018년 10월 12일 (금요일)
장소 : 고려대학교 인촌기념관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제 3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학회에서 연구실 인턴 차다은과 연구원 이동엽 팀이 국어정보처리 경진대회에서 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해당 대회에서 사용한 모델은 Github에 올려졌습니다.
링크 : 동상 수상 모델 Github 링크
Samsung AI Forum
제2회 삼성 AI 포럼
2018년 09월 13일 (목요일)
장소 :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
삼성 AI 포럼은 Global 최고의 연구자분들과 함께 최신 AI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응용 및 혁신방향을 모색하는 기술 교류의 장입니다. 이 곳에 우리 연구실의 이찬희, Andrew Matterson가 포스터 발표를 했습니다. 여기서 이찬희 연구원은 우수상을 받았습니다.
링크 : 삼성 AI 포럼 홈페이지
Human Inspired AI & Computing Center 개소식 및 기념세미나
2018년 08월 13일 월요일 13시
장소 : 고려대학교 하나스퀘어 112호
Hi AI & Computing Center는 인간 수준의 지능을 갖는 인공지능 기술을 요구하는 현 사회의 부름에 응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습니다. 본 센터에서는 강화학습과 딥러닝 모델처럼 사용하게될 최고의 새로운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할 것 입니다. 이 개소식 및 세미나는 이 센터의 설립을 축하하기 위해 열리며 많은 분들의 성원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링크 : 팜플렛 다운로드
2018 夏계 NLP&AI 연구실 워크샵
2018년 06월 21일 ~ 06월 23일
장소 : 제주도 서귀포시 Y Resort
이번 해 2018년 6월 21일 제주도 서귀포시 Y 리조트에서 NLP&AI 연구실의 2018년 반년 동안의 연구 및 과제 성과의 진행상황을 확인하고 남은 반년동안의 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NLP&AI 연구실 인원들과 타 기관을 초대하여 이틀에 걸쳐 워크샵을 개최하였습니다.
일정표: 워크샵 프로그램 일정
COLING 2018
2018년 8월 20일 ~ 8월 26일
장소 : Santa Fe, New Mexico, USA
링크 : COLING 2018
The 2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will take place in Santa Fe, New-Mexico, USA. 2 of our lab member’s articles were accepted and will participate in the COLING 2018. The gifted two are Lee Chan Hee and Andrew Matteson
2018 한국패션 비즈니스학회 춘계학술대회
2018년 4월 28일
장소 : 홍익대학교 홍문관
링크 : 2018 한국패션 비즈니스학회
이번 해 ‘2018 한국패션 비즈니스 춘계학술대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패션 뉴비즈니스’의 주제 하에 열렸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NLP&AI 연구실에 속해 있는 이찬희 연구원과 이동엽 연구원이 우수논문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2017 국어 정보처리 시스템 경진대회
2017년 10월 13일
장소 : 대구카톨릭대학교
링크 : 2017국어정보처리시스템 경진대회
이번 해 ‘국어 정보 처리 시스템 경진 대회’는 제 2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에서 열리게 되었으며, 이번 경진대회에서 임희석 교수님의 NLP&AI 연구실에 속해 있는 이동엽 연구원이 만든 KU NERDY(Named Entity Recognition by DongYub)으로 금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2017 한·러 인지과학 워크샵
2017년 12월 18일
장소 : Moscow Institute of Physics and Technology
이번 해 2017년 12월 18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한·러 인지과학 워크샵에서 임희석 교수님이 참여하여 초청 강연을 하게 되었습니다. 강연 시간은 12시 5분에서 12시 25분까지이며 강연 제목은 Korean language processing with deep learning입니다.
일정표: 워크샵 프로그램 일정
Colla: The Social Learning Platform
사이트 : http://colla.or.kr/
누구나 학습할 수 있고, 누구나 가르칠 수 있으며, 여러분의 참여로부터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소규모 비공개 학습자 대상 학습코스 진행, 학습강좌 관리, 학습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소셜 플랫폼.
오늘부터 시작하세요!
2017 NLP&AI 연구실 워크샵
2017년 12월 26일 ~ 12월 27일
장소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리조트
이번 해 2017년 12월 26일 광주시 곤지암 리조트에서 NLP&AI 연구실의 2017년 한 해 동안의 연구 성과 및 결과를 결산하기 위하여 NLP&AI 연구실 인원들과 타 기관을 초대하여 이틀에 걸쳐 워크샵을 개최하였습니다.
일정표: 워크샵 자료 다운로드
Our NLP & AI Laboratory, which opened in 2008 as the BLP laboratory, is located at Korea 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Our lab is under the guidance of Professor Lim Huiseok, with members conducting a variety of researches and developing new innovations for a brighter future in the academic field and society.
2008 – Laboratory was founded under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by Professor Heuiseok Lim under the name of Brain-neuro Processing Lab.
2009 – Students Yu WonHui, Ji HyeSung, Yang YeongWook have joined the lab.
2010 – Student Jo Jaechoon has joined the lab.
2011 – 4 students have earned their Masters Degree(Yu WonHui, Ji HyeSung, Yang YeongWook, Jo Jaechoon)
2015 – Merged to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2017 – Laboratory name was changed to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Artificial Intelligence Lab from Brain-neuro Processing Lab.
Numerical data that is represented in a computer is mainly used to conduct high speed operation called Machine Learning. However,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era, various use of a computers’ high speed operations have arisen, such as; multimedia data processing and intelligent human-centric interfaces. Due to the complex nature of the human brains computers are easier to manipulate to do complex task. With this realization computers are essentially easier to use then a human being. To compensate for this gap between human beings and computers, the ri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implemented within in computer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onsists of information that can be easily interpreted by a human being to communicate with a computer. For this to occur, the neurons within the brain must be processed by the computer in a way that the computer can understand, and vise-versa. From a language model we can then better understand the human brain and the complex neural-networks that occur within the brain and thus convert these cognitive abilities and process into a computer. Thus, the study of computer-based human language will be the technical achievement in the 21st century.
#311 Aegineung Student Center, College of Informatics, Korea University,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
TEL : +82-2-3290-2684
E-mail : yj72722@korea.ac.kr
From Seoul Station
-By Taxi: Approx. 20 minutes.
-By Subway: Approx. 30 minutes to Anam station. (Take line 1 from Seoul station to Dongmyo station, then transfer to line 6)
From Yongsan Station
-By Taxi: Approx. 30 minutes
-By Subway: Approx. 30 minutes to Anam station. (Take line 1 from Seoul station to Dongmyo station, then transfer to line 6)
#311 Aegineung Student Center, College of Informatics, Korea University,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